본문 바로가기
베이커리

유럽, 서아시아의 빵, 빵의 종교적 의미

by 옌크럼블 2023. 2. 8.

안녕하세요! 옌크럼블이에요. 

오늘은 유럽, 서아시아의 빵에 대해서 알아보고 각 종교에서 빵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알아 볼게요!

 

유럽 및 서아시아의 빵

 

영국의 빵

영국에서는 전통적으로 직사각형 통 모양으로 구우며,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둥근 빵도 노스이스트잉글랜드 지역을 중심으로 생산하며, 스토티드 케이크라고도 부릅니다. 2개의 큰 빵 사이에 작은 빵을 올리는 방법으로 만든 전통 빵인 코티지 로프도 있습니다. 양산형 빵의 콜리우드 가공법 또는 촐리우드 제빵법은 1960년대에 영국에서 개발되었고, 이후에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갔습니다. 


프랑스 빵

단연 프랑스의 대표적인 빵은 바게트입니다. 하지만 바게트의 소비량은 점점 줄고있는 추세입니다. 1970년대에 프랑스 사람들은 하루에 평균 빵 한 덩어리를 소비하였지만, 오늘날에는 하루에 빵 반 덩어리로 줄어들었습니다. 이 감소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2013년에 제빵사들은 미국에서 펼쳐진 "우유 있습니까?" 캠페인을 모델로 삼아, 모든 광고판과 빵 봉지에 “저기요, 당신 빵을 가져갔나요?”문구를 넣은 캠페인을 펼치기도 했습니다.

 

스페인의 빵

스페인에서는 'pan'으로 부릅니다. 전통적인 스페인식 빵은 프랑스의 바게트와 유사한 형태의 넓고 긴 빵 덩어리입니다. 스페인에서는 전통적인 빵집에서 여러 가지 큰 빵의 모음을 매일 아침에 갓 구워낸 것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작은 형태의 빵으로 보카디요가 있으며, 히스패닉 요리의 상징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스페인, 특히 지중해 지역에서는 750년 이상 베이커 길드가 있었으며, 바르셀로나의 베이커 길드는 서기 1200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사모라 주 지방에는 '티에라 델 팬(Tierra del Pan, "빵의 땅"이라는 뜻)이라는 지역이 있으며, 과거에 이곳에서 경제 교류가 활발했었습니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 따르면, 터키에서는 2000년에 세계에서 1인당 가장 많이 빵을 소비하였다고 하며, 일인당 평균 199.6 kg를 소비하였고 합니다. 이 외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서는 135kg, 불가리아에서는 133.1kg정도 소비되었습니다.



빵의 종교적인 의미

 

-힌두교

힌두교에서 빵은 종교적 제물로 사용되며 풍요와 영양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이슬람에서 빵은 주식으로 간주되며 종종 식사 때 제공됩니다. 그것은 또한 라마단 기간 동안 단식을 깨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기독교

기독교에서 빵은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영성체나 성찬식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성찬 동안 빵을 축복하고, 떼고, 회중 구성원들 사이에서 나눕니다.

유대교 신앙에서 빵은 할라 덩어리 형태로 제공되는 전통적인 안식일 식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할라는 광야를 여행하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어진 만나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기독교의 의식인 성체성사에서,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표현으로 빵을 성사의 하나로 먹는데,가톨릭전례에서는 그리스도의 몸이 실제로 발현된다고 믿습니다.  빵의 구성을 포함하여, 성사의 양식은 교단에 따라 다릅니다. 공관복음서에서는 최후의 만찬을 유월절의 식사로 적고 있고,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이라고 제시합니다. 이는 성체성사에 대한 근거인 최후의 만찬의 각기 다른 설명과 성사의 묘사에서 각기 다른 설명과 관행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나 요한의 복음서의 연대기에서, 최후의 만찬이 유월절 '전 날'의 사건이라 하여 누룩을 넣은 빵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의견 차이의 시점에도 불구하고, 가톨릭 교회의 피렌체 공의회는 누룩을 넣지 않거나 누룩을 넣은 빵 중 하나 모두 그리스도의 몸으로 진정으로 발현되고, 사제는 하나라도 그리스도의 몸으로 발현하여야 한다고 동의하였습니다.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유대인의 축제 중 하나인 유월절에서는,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인 무교병을 먹으며, 이는 이집트에서 노예 생활을 청산한 것을 기념한 것입니다. 당시 이스라엘 백성은 빵을 팽창시킬 충분한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무교병에 의존하였던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많은 문화와 종교에서 빵은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생계와 자양분의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삶의 기본 필수품이자 환대와 나눔의 상징으로서 의미를 지닙니다

 

식빵, 전밀빵, 호밀빵, 우유식빵, 건포도식빵, 옥수수식빵, 풀먼브레드, 보리식빵, 더블소프트 식빵, 버터톱식빵, 생크림 식빵, 밤식빵 이 외에도 수많은 종류의 빵이 존재합니다.

 

Bon appétit !

댓글